
뜨거운 햇살이 내리쬐는 한여름, 문득 바람 끝에 실려오는 서늘함이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바로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스무네 개 절기 중 열세 번째 절기인 입추(立秋)입니다. 입추는 '가을에 접어든다'는 뜻으로, 여름과 가을의 경계에 서 있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입추의 의미부터 흥미로운 풍습, 그리고 자연의 변화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보기 📋
입추,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 🌱
입추(立秋)는 24절기 중 열세 번째 절기로, 양력 8월 7일 또는 8일경에 해당합니다. 올해는 8월 7일이 입추입니다. '가을에 접어든다'는 뜻을 지니고 있으며, 절기상으로 가을이 시작되는 날을 의미합니다.
입추가 지나면 입동(立冬)까지의 기간이 가을에 속하게 됩니다. 입추는 여름의 마지막 무더위와 가을의 서늘함이 공존하는 시기로, 농경사회에서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녔습니다.
이때는 벼가 한창 익어가는 시기였기 때문에, 논에 물이 없으면 벼가 제대로 자랄 수 없다고 여겼습니다.
24절기는 태양의 황경에 따라 한 해를 24개의 기간으로 나눈 것입니다. 입추는 태양의 황경이 135°에 있을 때 시작됩니다.
입추에 얽힌 흥미로운 풍습과 속담 🌾
입추는 농경사회에서 중요한 절기였던 만큼, 다양한 풍습과 속담이 전해 내려오고 있습니다. 특히, 농부들은 벼의 생육과 관련된 입추의 날씨를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입추 때는 벼가 한창 익는 때이므로 이때 논에 물이 없으면 벼가 자라지 않는다’라는 속담이 대표적입니다. 이 시기 비가 내리면 풍년을 예감하기도 했습니다.
입추가 지나도 더위는 계속될 수 있습니다. 이를 '입추 매직'이라 부르며, 절기상 가을이지만 실제로는 늦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현상을 재치 있게 표현한 것입니다.
또한, 입추 무렵에 한창 익어가던 벼를 위해 가뭄이 들지 않기를 기원하기도 했습니다. 옛날에는 입추 무렵에 비가 내리면 흉년이 든다고 생각했지만, 이는 가뭄이 심해질 것을 우려한 농경 사회의 지혜가 담긴 말이기도 합니다.
입추 이후에 오는 절기인 처서(處暑)에 비가 내리면 곡식에 해가 없다는 속담도 있어, 절기마다 다른 날씨 변화에 대한 오랜 관찰이 담겨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입추 삼후(三候)의 의미와 자연의 변화 🍃

입추는 5일씩 세 개의 기간으로 나뉘어 그 기간 동안 자연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세밀하게 관찰했습니다. 이를 ‘입추 삼후(三候)’라고 부릅니다. 이 삼후를 통해 우리는 입추가 단순히 더위가 끝나는 날이 아니라, 자연의 순환 속에서 서서히 가을을 맞이하는 과정임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초후(初候): 서늘한 바람이 분다 (涼風至)
입추 첫 5일 동안은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합니다. 이 바람은 여름의 열기를 조금씩 식혀주며, 가을의 기운을 전해줍니다. - 중후(中候): 흰 이슬이 내린다 (白露降)
다음 5일 동안은 밤이슬이 맺히기 시작합니다. 이는 공기 중의 수분이 차가운 기운을 만나 응결되는 현상으로, 가을이 깊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말후(末候): 매미가 운다 (寒蟬鳴)
입추 마지막 5일 동안은 여름의 대표 곤충인 매미가 울기 시작합니다. 매미 소리가 이 시기부터 들린다는 것은, 여름이 절정에 달했음을 알리면서 동시에 가을의 문턱에 다다랐음을 상징합니다.
입추,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
자주 묻는 질문 ❓
입추는 단순히 더위가 끝나는 날이 아니라, 계절의 변화와 자연의 순환을 이해하게 해주는 중요한 절기입니다. 이 글을 통해 입추에 대한 궁금증이 해소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